Surprise Me!

[경제를 보다]챗GPT 맞설 한국형 AI…저작권 침해 논란은?

2023-08-25 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경제를 보다, 김승희 기자 나왔습니다.<br><br>Q1. 김 기자, 우리나라에서도 챗GPT에 견줄 만한 초거대 AI가 나왔다면서요?<br><br>네, 챗GPT와 같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죠.<br><br>네이버가 챗GPT와 경쟁할 생성형 AI, '하이퍼클로바X'를 어제 공개했습니다.<br><br>네이버 홈페이지에서 클로바X를 검색해서<br><br>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데요. <br><br>한국어에 특화된 게 주목할 만한 점입니다. <br><br>챗GPT에 한국어 질문을 하면 영어로 질문했을 때보다 두루뭉술한 답이 나오는데요. <br><br>챗GPT보다 더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단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.<br><br>Q2. 국내서도 AI 경쟁이 시작됐는데, 하반기 출사표를 낼 곳은 어디인가요?<br><br>카카오는 오는 10월, 새로운 생성형 AI 모델 출시를 예고했습니다.<br><br>앞서 지난 3월 생성형 AI 기반의 챗봇 서비스 '다다음'을 베타 버전으로 선보였는데요.<br><br>카카오톡에 다다음 채널을 추가하면 되는 간단한 방식이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접속이 폭주하고 답변이 지연되면서 서비스 재개를 무기한 연기했습니다.<br><br>LG는 지난달 말 전문가용 AI인 '엑사원 2.0'을, 엔씨소프트는 게임사 최초 자체 개발 AI인 '바르코'를 공개했고요.<br><br>KT와 SK텔레콤도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며 국내 AI 전쟁이 본격화된 거죠.<br><br>Q3. 해외에선 어떻습니까?<br><br>해외에서도 앞다퉈 AI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는데요.<br><br>구글은 지난 3월 챗봇 AI '바드'를 출시했는데 시연회에서 틀린 대답을 내놔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<br><br>조만간 새 AI '제미니'를 출시할 예정인데요.<br><br>핵심 개발 인력 수백 명을 총동원했다고 알려질 정도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페이스북 운영사, 메타에서는 빠르면 이달 안에 코딩 AI인 '라마'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<br><br>Q4. 지금 전 세계의 생성형 AI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,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어떤지 궁금합니다.<br><br>현재 기술 수준에서도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건 물론이고, 사람이 몇 마디만 해도 이 목소리를 학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<br><br>우리나라도 결코 뒤처지지 않고 있는데요.<br><br>전문가에게 물었더니 AI 선진국인 미국에서 챗GPT가 지난해 11월 나왔고,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X를 이달 출시했으니 9개월 정도 차이가 난다 이해하면 쉽다고 말했습니다.<br><br>한때 기술력이 4~5년까지 벌어졌던 과거와 비교하면 무서운 속도로 따라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 설명입니다.<br><br>Q5.그런데 이런 생성형 AI 서비스가 저작권을 침해한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어떤 내용인가요?<br><br>AI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언론사 허락 없이 뉴스 콘텐츠를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><br>최근 한국신문협회는 허락과 출처 인용 없이 뉴스를 활용하는 게 저작권 침해라고 주장했는데요.<br><br>외신에 따르면 해외에서도 저작권 논란이 벌어져서 오픈AI와 구글, 마이크로소프트 등 생성형 AI 개발회사들이 주요 언론사와 <br>협의를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